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아자 사회2부 김단비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김 기자, 산불이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까지 번진 건가요? <br><br>불은 강릉 난곡동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<br> <br>빨간선이 쳐진 곳이 오늘 산불 영향권에 놓인 지역인데요 <br><br>화선은 한때 8.8Km까지 이어졌고.<br><br>마을을 집어삼킬 듯 빠르게 번졌습니다. <br> <br>불길이 번져나가는 길목에 펜션, 호텔들이 몰려 있어 피해를 키웠습니다. <br> <br>한때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경포대 근처까지 불길이 번졌지만, 다행히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, <br> <br>강원도 유형 문화재인 강릉 방해정 일부가 소실됐고 경포호 주변 상영정도 전소됐습니다.<br> <br>Q1-1 이번 원인이 전신주에서 시작된 불꽃이잖아요? <br> <br>전깃줄에서 생긴 불꽃이 산불이 옮겨간 상황인데요. <br> <br>비슷한 사고, 2019년에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2019년 강원 고성 산불 당시 모습입니다. <br> <br>전신주 고압선 부근에서 불꽃이 사방으로 튀더니, 수풀에서 불이 나기 시작하죠. <br> <br>강풍 영향으로 산불이 번지면서 축구장 1천 개 면적의 산림을 태웠습니다. <br><br>이번 역시 전신주 일대에 나뭇가지들이 쌓여 있고 끊겨있는 전깃줄 단면도 눈에 띕니다. <br> <br>산림당국은 이 곳을 최초 발화지점으로 지목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현장에 단락된 전선과 발화 지점이 일치하고 이 일대 정전 시각과 화재 발생 시각이 같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경찰은 끊어진 전깃줄을 증거물로 수집하고 화재원인 조사를 위해 현장을 보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2 시청자가 이런 질문을 하셨네요. 왜 강원도에 불이 많이 날까요? 다른 지방과 차이점이 있을까요?. 강원도에서 산불 날 때마다 나오는데 정확히 뭔가요? <br> <br>바로 봄철마다 부는 양간지풍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봄철 양양과 고성 간선읍 사이 국지적으로 부는 건조한 강풍을 일컫는 말입니다. <br> <br>불을 몰고 온다고 해서 화풍. 이라고도 부릅니다. <br> <br>얼마나 빠르냐면요, 현장에서 오전 한때 초속 30m 강풍이 불었는데 시속 135km로 달리는 자동차와 맞먹는 속도입니다 <br> <br>작은 불씨라도 이 강한 바람을 타고 큰 불로 변하는 거죠. <br><br>Q3 뾰족뾰족한 침엽수가 강릉에 많은데 이게 불에 더 잘탄다면서요? <br> <br>불길이 지나간 자리엔 소나무 군락지가 있었습니다. <br><br>주택가와 해변간 인근 소나무 군락지를 이룬 곳이 많은데요. <br> <br>이렇게 심어진 소나무가 피해를 키우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<br> <br>불이 잘 붙는 송진이 연료 역할을 하고 솔방울이 바람을 타고 날아가 큰불로 커졌다는 건데요 <br> <br>소나무는 척박한 겨울에도 잎이 풍성한 반면 송진에 불이 붙으면 1000도 이상 열기를 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Q4 그래도 8시간 만에 큰 불을 잡았어요. <br> <br>네 산불이 발생한지 8시간에 큰 불을 잡았는데요. <br><br>잦아진 바람과 반가운 비, 호수와 해안가가 가까운 지형이 톡톡한 역할을 했습니다. <br><br>산불은 오전만해도 강풍 탓에 일대를 집어 삼킬 기세로 맹렬했는데요.<br> <br>오후 들어 바람이 잦아들면서 헬기를 띄울 수 있었습니다. <br><br>특히 오후 들어 내린 단비가 결정적 기여를 했습니다. <br> <br>5mm 정도의 적은 양이었지만 강한 빗줄기가 짧은 시간 집중되면서 산불의 기세를 꺾기엔 충분했습니다. <br> <br>불이 난 야산 오른쪽엔 동해, 아래쪽엔 경포호가 있어 불이 번질 여지가 적었다는 점도 거론됩니다.<br> <br>네, 아는기자 였습니다.